수출물량지수 0.2%↑, 수입물량지수 3.1%↓
한국은행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8년 12월 수출물량지수가 148.07로 전년동월대비 0.2% 상승하였고, 수입물량지수는 133.21로 3.1% 하락하였다. 또한 순상품교역조건 지수는 92.65로 전년동월대비 6.8%하락하였고 소득교역지수는 137.19로 6.7% 하락하였다.
<사진:(출처:pixabay)>
수출입금액지수, 수출입물량지수란?
수출입금액은 가격과 수량으로 나눠서 파악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무역지수 중 수출입금액지수로는 기준년도(2010년) 대비 수출입된 총금액을 비교할 수 있고, 수출입물량지수로는 수출입된 물량을 비교할 수 있다. 수출입물가의 상대적인 비교는 수출입물가지수를 통해 알 수 있는데, 12월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2.0% 하락,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3.4% 하락하였다.
참고 : 수출입물가지수 하락을 이끈 유가하락_수출입물가지수_18.12월
수출물량지수
12월 수출물량지수는 148.07로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이 감소하였으나 수송장비,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0.2% 상승하였다. 수출금액지수는 128.54로 전기 및 전자기기, 화학제품 등이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3.3%하락하였다. 2018년의 잠정수출물량지수는 153.84로 전년대비 7.4% 상승, 수출금액지수는 138.72로 10.8% 상승하였다.
수입물량지수
12월 수입물량지수는 133.21로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증가하였으나 일반기계, 광산품의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3.15% 하락하였다. 수입금액지수는 124.82로 광산품, 전자 및 전자기기 등의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0.4% 상승하였다. 2018년의 잠정수입물량지수는 132.99로 전년대비 1.4% 상승, 수입금액지수는 126.70으로 11.8% 상승하였다.
교역조건지수란?
한국은행이 발간한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에 따르면 교역조건은 한 나라가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의미한다. 교역조건지수는 수출/수입품의 물가비교를 통해 산출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와 수출금액과 수입물가를 비교해 산출하는 소득교역지수가 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가지수를 수입물가지수로 나눈 값으로 한 개의 상품을 수출했을 때, 얼마나 많은 상품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하지만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가격변동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무역의 이익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적은 비용으로 원유를 추출할 수 있게 된 경우, 원유를 수출하는 국가의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품의 물가하락으로 하락하게 된다. 하지만 낮은 가격의 원유를 다량 수출하여 전체적으로 해당국가의 수출금액이 늘어난다면 해외로부터 더 많은 재화를 수입할 수 있게 된다. 즉, 해외에서 물품을 사올 수 있으려면 총수출금액도 의미가 있으므로 가격 이외의 물량이 반영된 교역지수가 필요해진다. 소득교역지수는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의미하며 순상품교역조건지수에 수출물량지수를 곱해서 산출한다.
<사진:(출처:pixabay)>
순상품교역조건지수
12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2.65로 전년동월 대비 6.8% 하락하였고 전월대비 2.7% 상승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수출가격이 -3.5%하락하였고 수입가격은 3.6% 상승하였다. 2018년의 잠정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4.65로 전년대비 6.5%하락하였다.
소득교역조건지수
12월의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37.19로 수출물량지수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순상품교역조건지수의 하락으로 전년동월대비 6.7%하락하였다. 2018년 잠정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45.61로 전년대비 0.4% 상승하였다.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성인 금융이해력 수준 OECD평균에 못 미쳐 (0) | 2019.02.06 |
---|---|
소비자 심리지수 전월대비 0.6p↑ (0) | 2019.01.28 |
보다 공격적인 운용지시가 필요한 퇴직연금 (0) | 2019.01.22 |
손상된 지폐 어떻게 교환하면 될까? (0) | 2019.01.18 |
수출입물가지수 하락을 이끈 유가하락_수출입물가지수_18.12월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