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들

한국 성인 금융이해력 수준 OECD평균에 못 미쳐

한국 성인 금융이해력 수준 OECD평균에 못 미쳐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실시한 2018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수준이 OECD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8세부터 7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금융이해력 조사한 결과 62.2점으로 OECD평균인 64.9점 대비 다소 낮은 결과가 나왔다.

 


금융이해력 조사

금융이해력 조사는 이자개념에 대한 이해, 위험과 수익관계 등을 묻는 금융지식과 재무계획과 관리 등 소비자의 행위를 묻는 금융행위, 소비와 저축 등에 대한 선호를 평가하는 금융태도로 나눠서 평가를 한다. 기타 항목으로 금융상품을 알고 있는지, 또는 보유하고 있는지를 묻고 새로운 금융상품을 가입한 사실이 있는지를 묻는다.

 

세부내용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금융지식이 65.7점, 금융행위가 59.9점, 금융태도가 61.3점으로 OECD평균인 64.9점보다 낮았다. 소득수준별로는 월소득 250만원 미만 계층의 점수가 58점으로 월소득 420만원 이상계층의 65.6점에 대비해서 점수가 낮았고 20대의 금융행위가 58.4점, 금융태도가 57.7점으로 평균대비 낮았다. 연령별로는 아직 사회생활을 본격적으로 하지 않는 20대를 제외하고는 30대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연령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소득이 높을수록 금융이해도가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금융이해력 차이는 없었으나 남성는 금융지식 점수가 높고 여성은 금융태도 점수가 높았다.

 

기타 내용

우리 나라의 성인은 85.7%가 자신의 돈을 직접 관리하며 가계의 경우, 93%가 단독/가족구성원과 공동으로 금전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월소득 정도의 급작스러운 지출 발생시 59.9%가 가족 또는 지인의 도움없이도 해결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주된 소득원이 없어지더라도 3개월 이상 감당할 수 있는 비중이 56.2%로 나타났다. 31.1%는 노후 은퇴시 재무계획에 대해서 자신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