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들

중국증권거래소, 중국주식시장의 구성

거래소별 특징

중국에 투자한다고 하면 보통 상하이, 심천, 홍콩에 있는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중 홍콩에 상장되어 있고 홍콩달러로 결제가 이뤄지는 H주는 외국의 개인투자자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 중국본토의 주식은 상하이와 심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A주와 B주로 나뉘어져 있다. A주는 중국 내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결제는 중국본토인 만큼 위안화로 결제된다. B주는 외국인 투자자 대상으로 하며 상하이는 달러로 심천은 홍콩달러로 결제가 이뤄진다. 2014년 11월이전 후강통이 개장되기 전에는 외국인은 개인자격으로 투자가 불가능했고 적격해외기관투자(QFII), 위안화 적격외국인투자자(RQFII) 자격이 있는 기관만 투자가 가능했었다. 하지만 후강통 개장 이후에는 개인도 상해거래소 A주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후강통은 상해와 홍콩을 연결한다는 뜻으로 2014년 11월 후강통의 시행으로 전세계의 개인투자자들도 후구통을 통해서 상해주식을 매매할 수 있게 되었고 중국의 투자자들도 강구통을 이용하여 홍콩 주식을 매매 할 수 있게 되었다. 비슷하게 16년 12월에는 선강통을 통해서 심천거래소에 상장된 A주에도 직접 투자가 가능해 졌다. 중국본토 거래소의 거래시간은 오전장이 10:30-12:30분이고 오후장이 14:00부터 16:00까지이다.

 

기업사이즈에 따른 분류

각 거래소에는 주반(메인보드)과 그 외 기업으로 분류한다. 주반(메인보드)는 규모가 큰 대형기업이다. 상해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은 주로 국유기업과 금융, 에너지와 같은 대형기업들이다. 때문에 상해거래소는 주반(메인보드)만 존재한다. 중국 버전의 나스닥인 심천거래소에는 첨단산업과 신생기업이 상장되어 있다. 심천거래소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구분을 하고 있으며 심천거래소에는 그중 가장 규모가 큰 기업인 주반, 중소기업인 중소반, 벤처기업이 상장하는 창업반, 소규모 기업인 신삼반이 존재한다. 홍콩시장은 주반, GEM(홍콩의 나스닥)으로 구분되어 있다.

 

증권번호로 거래소 구분하기

증권번호를 통해서 각 회사가 상장된 거래소를 알 수도 있다. 증권번호 앞 자리가 600, 601, 603이면 상해거래서 A주이고 900이면 상해거래소 B주이다. 000이면 심천거래소 A주, 200이면 B주이고 002면 중소반, 300이면 창업반이다.

 

중국시장의 특징

중국주식시장은 거래액의 70%가 개인투자자로 이뤄진 만큼 주가의 변동성이 크고 각종 규제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적은 편이다. 상해증권거래소에서의 국유기업이 상위 10대 기업을 차지하고 18년 6월 11일 기준으로 시가총액에서 국유기업이 53.5%을 점유할 정도로 대형 국유기업의 비중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