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21일 대원(007680) -29.75%하락. 손절해야 할까?

대원 -29.75%하락

칸타빌로 알려진 건설업체인 대원(007680)은 221일 전일대비 -29.75%5400원 하락하며, 12750원으로 최근 급등세를 마무리했다. 대원에 투자한 것은 201912월 투자종목 10위에 있었기 때문이다. 차트상으로는 장대음봉에는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이 정석이지만, 하락 이전인 18000원을 감안하더라도 130위 정도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5400원 하락한 현재는 다시 매수할 가격 메리트가 있다고 본다.

대원 주가차트 출처:네이버증권

 

투자여부 - 채권형 주식 기대수익률 산정

서준식이 쓴 다시 쓰는 주식교과서에서는 채권형 주식 기대수익률을 산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쓰고 있는데, 이 방법에 따라서 현 시점의 대원의 투자여부를 결정하려고 한다.

 

1.     현재가격과 순자산 가치 확인 :

현재가 12750,

순자산가치(193분기) 3007억원, 발행주식수 11,239,043 -> 주당순자산 : 26754

2.     추정 미래 ROE : 10%

3.     10년후 예상되는 채권형 주식의 순자산 가치 :

10%19년 동안 지속될 경우 2.59- > 26754 * 2.59 = 69292

4.     기대수익률 계산(예산 순자산 가치 / 현재가로 승수조견표에서 수익률 찾기)

69262/12750 = 5.43 -> 18.3%

투자지표

19.09

18.12

17.12

16.12

15.12

14.12

13.12

12.12

11.12

10.12

09.12

08.12

주당순이익(EPS,연결지배)

489

2,723

2,248

3,783

1,494

-2,877

394

503

2,265

1,067

612

509

주당순이익(EPS,개별)

594

2,960

2,301

3,689

1,510

-2,870

332

1,295

2,896

1,277

569

509

PER ()

N/A

4.22

5.19

N/A

N/A

N/A

N/A

N/A

N/A

N/A

N/A

N/A

주당순자산(지분법)

25,325

24,678

21,808

21,749

19,453

17,825

20,429

11,437

12,981

15,282

15,248

15,753

PBR ()

0.47

0.47

0.49

N/A

N/A

N/A

N/A

N/A

N/A

N/A

N/A

N/A

주당 배당금

N/A

250

200

0

0

0

0

0

0

0

0

0

시가 배당률 (%)

N/A

2.2

1.9

N/A

N/A

N/A

N/A

N/A

N/A

N/A

N/A

N/A

ROE (%)

N/A

11.04

9.45

17.40

7.68

-16.14

1.93

4.40

17.45

6.98

4.02

3.23

순이익률 (%)

3.06

9.04

8.43

14.14

4.79

-6.83

1.27

0.81

3.43

3.72

2.81

3.31

영업이익률 (%)

6.35

9.17

8.95

7.73

2.56

-9.61

2.51

1.53

10.62

5.72

4.67

8.93

주가

11,950

11,500

10,700

N/A

N/A

N/A

N/A

N/A

N/A

N/A

N/A

N/A

표: 아이투자 홈페이지 대원 

 

결국 ROE예측

수치로는 18년의 흐름이 이어진다고 한다면 지금 당장 사야하는 주식이다. 하지만 최근 분기의 저조한 실적을 보면 ROE 10%가 달성이 가능한지 심히 의문이다

 

최근 분기인 199ROE2.13을 사용하면 연 수익률은 약 9.9%가 나온다. 워런버핏의 기준인 15%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MSCI 한국 인덱스의 per로 계산한 기대수익률 9.15%보다는 약간 높은 정도이다. 현 분기의 ROE가 일시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추가적인 투자가 고민될 수 있겠다.

 

개인적인 의견 

개인적으로 대원은 현재 비중을 유지하고 소량 매수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21일 큰 폭의 하락으로 인한 투자심리가 극도로 위축으로 추가하락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단기에 반등할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통한 분할 매수가 필요하다.

 

*본 글은 투자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투자 전략의 참고자료 입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투자종목  (0) 2020.03.03
ROE, 배당수익률 등에 순위 내는 방법이 있을까?  (0) 2020.02.23
MSCI per를 이용한 2020년 주가기대수익률  (0) 2020.02.21
2020년 1월 투자종목  (0) 2020.02.21
피플펀드 상환  (0) 2020.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