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텝다운형 ELS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텝다운형 ELS는 일정 시점에 기초자산의 기준가격을 정하고 보통 6개월 마다 조기상환 여부를 판단하는 상품이다. 조기상환되는 조건이 시간이 지날수록 내려가기 때문에 스텝다운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KB able DLS 제 219호
KB증권에서 판매하고 있는 KB able DLS 제 219호를 예로 들어보겠다. 이 상품은 약속된 시점마다 자산가격을 비교하여 조기상환 여부를 판단하는 전형적인 스텝다운형이다.
해당 상품은 작성현재 청약이 가능한 상품이긴 하지만 본 글은 스텝다운 상품을 이해하기 위한 예로 판매권유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품에 대해 정확한 내용은 상품설명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기초자산
기초자산으로는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최근월 선물, 북해산 브렌트원유(Brent) 최근월 선물로 되어 있다. 자산이 두가지이지만 두 자산은 국제유가라는 상관관계가 아주 높은 자산임을 알 수 있다. WTI와 Brent의 최근월선물의 6개월간 변동성은 각각 37.52%와, 35.47%이고, 두 자산의 상관계수는 0.9649로 아주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실제 이 상품은 유가가 이제는 바닥권이라고 예상하는 사람들이 가입할 만한 상품이다. 현재 WTI는 배럴당 45.33달러로 최근 고점이었던 2018년 10월 76.41달러에서 40%이상 급락했다. 하지만 2016년 유가는 26.21원을 기록한 적도 있어서 충분히 손실도 가능하다.
만기와 조기상환
이 상품의 만기는 4개월이고 2년동안 6번의 조기상환여부를 확인한다. 상환조건은 기초자산의 조기상환여부평가일의 가격인 상환평가가격과 ELS상품운영시 결정하는 최초기준가격을 비교한 비율로 표현하는데, 이 상품은 90-85-80-80-75-70으로 점차 하락한다. 만약 기준가가 해당 배리어보다 낮은 수준으로 점진적으로 하락한다면 가장 큰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중간에 상승하더라도 조기상환되긴 하지만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 상품은 2019년 1월 4일 최초기준가격을 정하고 4개월마다인 19.5.3 / 19.9.4 / 20.1.3 / 20.4.28 / 20.9.4에 각각 조기상환여부를 판단하고 21.1.4에 만기평가를 한다. 조기상환이나 만기시 3영업일 이후 원금과 수익금 또는 손실이후 잔액이 입금된다.
낙인조건과 원금손실
이 상품에는 50% 낙인 조건이 있어서 2년동안 두 자산중 하나라도 최초 기준가의 50% 미만인 적이 있었다면 원금손실의 가능성이 있다. 위 상품은 선물가격이라 실제유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 유가로 예를 들면, 만약 WTI가 현재 가격인 배럴당 45.33달러에서 50%하락한 최저점인 22.66원을 기록하고 만기인 2년까지 시작가의 70%인 31.73달러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만기가격/최초기준가의 비율만큼 원금이 손실된다. 이때 손실시 만기가격은 WTI와 Brent중 더 많이 떨어진 자산을 기준으로 한다.
수익률
수익률은 연 5.7%로 유지된 조기상환시에는 유지된 기간만큼 계산한다. 최대 수익은 11.4%로 두 자산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자동조기상환조건을 만족하지 않았고 50%까지 하락한 적이 없을 때 받을 수 있다. 최대 손실폭 100%로 실제로 일어날 확률은 크지 않지만 두 기초자산중 한 자산이 0원이 되는 경우이다.
과거 데이터 백테스팅
과거 1998년부터 2016년의 유가 데이터에 대입해 봤을 때, 손실이 있었던 경우는 4.91%였다고 한다. 최근의 유가하락이 급격하게 이뤄졌다는 점에서는 기계적으로 계산한 확률보다는 손실률이 낮을 수 있다고 판단되나, 셰일 혁명으로 불리는 미국발 공급과잉과 중동의 정치불안은 과거 데이터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유가가 움직일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사진: 스텝다운ELS의 조기상환 구조(출처:KB증권 KB able DLS 제 219호 요약상품설명서)>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월 증권사 이벤트 모음 (0) | 2019.01.04 |
---|---|
2019년 무료로 주식거래 가능한 증권사 (4) | 2019.01.04 |
ETN 옵션매도 상품 비교 (0) | 2018.12.28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Price Cashflow Ratio)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8.12.27 |
상장지수증권(ETN)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8.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