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19년 3월중 M1평잔 전월비 0.8%↑, M2평잔 전월비0.8%↑

A Bank Clerk 2019. 6. 13. 15:07

193월중 M1평잔 전월비 0.8%, M2평잔 전월비0.8%

20193월 중 통화 및 유동성은 M1이 전월대비 0.8% 증가하고 M2는 전월대비 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보도자료에 따르면 M1193월 중, 전년동월 대비 2.6% 증가하였고 M2는 전년동월대비 6.8% 증가하였다.

 

금융상품별

금융상품별로는 수익증권이 0.8조원 감소하였으나 2년미만 금전신탁 6조원 증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6.2조원 증가, 2년미만 정기예적금이 13.8조원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2.6조원 증가, 기업부문이 12.6조원 증가하였다.

 

Lf 0.9%, L 1.3%

Lf(금융기관 유동성)는 전월대비 0.9% 증가하였고 이는 전년 동월대비 7.6%증가한 추세이며 L(광의유동성)은 전월말대비 1.3%증가하였고 전년동월말대비 6.5%증가하였다.

 

유동성지표의 종류 및 정의

한국은행은 시중의 통화량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통화 및 유동성 동향을 발표하는데 그 중 통화지표로는 M1(협의통화)M2(광의통화)를 유동성지표로는 Lf(금융기관유동성), L(광의유동성)이 있다. 2019년 한국은행이 발간한 알기쉬운 경제지표에서는 통화지표 및 유동성지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통화지표: 우선 통화지표중 M1(협의통화)은 화폐의 지급결제수단으로 현금과 요구불예금, MMDA와 같은 언제든지 지급 가능한 단기금융상품 등을 포함한다. M2(광의통화)M1에 만기 2년 이상의 장기 금융상품을 제외한 저축성예금, 시장형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금융채, 거주자 외화예금을 더한 것이다.

  • 유동성지표: 화폐의 가치저장 기능을 볼 수 있는 유동성지표 중 Lf(금융기관유동성) M2에 만기2년이상의 정기예적금, 금융채, 금전신탁, 생보사의 보험계약준비금, 증권금융회사의 예수금 등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L(광의 유동성)Lf에 기업어음, 회사채, 국공채 등의 유가증권을 포함한 것이다.  

통화 및 유동성 지표추이(출처: 한국은행보도자료)